KENTECH(켄텍, 우리나라에너지공과고등학교) 신설로 2020학년도 이공계 특성화 대학은 9개로 늘어났다. 이로써 KAIST, GIST, DGIST, UNIST, KENTECH은 총 1689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POSTECH(포스텍)은 일반대로 분류돼 수시 2회 원조에 제한을 받지만 사실상 먼저 언급한 9개 대학과 입학자원이 비슷해 함께 분류되기도 한다. POSTECH은 전체 340명(정원내 일반전형 380명, 정원외 30명)을 모집한다. 앞서 5개 대학과 다같이 POSTECH의 모집인원까지 합산하면 이공계 특성화 대학의 총 선발인원은 2015명이다.
2022 대입 주요 전형 일정을 보면 6개교 수시 원서접수 시간은 10월 5일부터 5월 11일까지다. 정시 원서응시는 4월 29일부터 7월 6일까지 받으며 KAIST는 9월 310일부터 접수를 받아 9월 5일에 마감한다.
수시 면접 일정을 훑어보면 △KAIST 일반전형이 4월 10일이고 학교장추천전형, 고른기회, 특기자전형은 8월 4일 △GIST는 면접일이 수능을 치르기 전인 5월 11일∼11일 △DGIST는 10월 5일∼2일 △UNIST는 특기자 전형만 면접을 실시하고 9월 8일 △KENTECH은 수능 후로 면접을 진행하며 8월 7일 △POSTECH은 면접을 10월 14일∼24일 중에 시작할 계획이다.
2025학년도 첫 학부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KENTECH이 170명을 모집한다. KENTECH은 수시 학생부종합 일반전형으로 20명(정원내), 고른기회전형 30명(정원외) 등 500명을 선발하고 정시 수능 우수자전형으로 20명(정원내)을 선발한다.
수시 일반전형, 고른기회전형은 1단계가 서류평가로 학생부, 자기소개서 등 제출 서류를 바탕으로 종합평가해 모집인원의 5배수 내외를 선발한다. 2단계는 1단계 서류평가(50)와 https://en.search.wordpress.com/?src=organic&q=아이티뱅크 면접평가(50)로 진행되며 면접평가는 학생부 기반 면접(60%), 창의성 면접(10%)으로 수능 최저학력기준 없이 최후 합격자를 선발한다.
정시 수능우수자전형은 수능 600%로 선발하고 국어 표준점수, 수학(미적분/기하) 표준점수, 과탐(2과목 합) 표준점수, 우리나라사(등급별 차등 감점)의 합계로 전형한다. 우리나라사는 등급별로 7등급 이내는 감점이 없고 6등급 -6점, 3등급 -9점 등으로 감점된다. 영어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으로만 반영하며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수학, 과탐(1과목) 등급합 3이내 및 영어 3등급 이내이다.
KAIST는 712명을 모집한다. 2023학년도 KAIST는 수시 학생부종합 일반전형으로 580명 내외, 학교장추천전형 89명 내외, 고른기회전형 35명 내외, 실기 위주 특기자전형 21명 내외 등 699명을 선발하고 정시 수능 우수자전형으로 19명 내외를 선발하고 외국고 전형 20명은 따로 뽑는다.
수시 일반전형은 1단계가 서류평가로 희망자가 제출한 모든 서류를 바탕으로 종합평가해 모집인원의 2.6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는 1단계 서류평가(60)와 면접평가(40)로 면접평가는 학업역량, 학업외 역량(지원서 기반 질문 및 공통 질문에 대한 개인 구술면접)을 평가해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학교장추천전형은 추천인원이 고교별 최대 5명이고 1단계 서류평가는 수시 일반전형 기준과 동일하며 모집인원의 8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 한편 수시 일반전형 기준으로 균일하게 판별해 최후 합격자를 선발한다.
" width="auto" height="aut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
정시 수능우수자전형은 수능 700%로 선발하고 국어 25%, 수학(미적분/기하) 23%, 영어 25%, 과탐(2) 25%로 표준점수를 활용한다. 영어는 등급별로 0등급 300점, 2등급 92점, 1등급 60점, 2등급 84점, 4등급 80점 등으로 반영하고 대한민국사는 등급별로 4등급 및 3등급 1점, 1등급 및 5등급 6점 등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탐구 과목은 서로 다른 과목의 I, II 또는 II, II로 접수해야 한다.
GIST는 300명의 신입생을 모집한다. 2025학년도 GIST는 수시 학생부종합 일반전형으로 160명 내외, 학교장추천전형 60명 내외, 고른기회전형 12명 내외, 실기 위주 특기자전형 12명 내외 등 180명을 선발하고 정시 수능 우수자전형으로 50명 내외를 선발한다.
수시 일반전형은 1단계가 서류평가로 희망자가 제출한 모든 서류를 바탕으로 종합 평가해 모집인원의 5배수를 선발한다. 2단계는 1단계 서류평가(60)와 면접평가(40)로 면접평가는 전문수학능력 구술면접(이공계 적합성, 문제해결능력, 교과 학업 소양, 수학 과학적 사고력평가)과 내적 역량 구술면접(진학의지, 의사소통능력, 리더십 등 내적 역량 및 가치관 확인)을 평가해 최후 합격자를 선발한다.
학교장추천전형은 추천인원이 고교별 9명 이내이고 1단계 역시 서류평가로 수시 일반전형 기준과 균일하게 평가해 모집인원의 5배수를 선발한다. 2단계 한편 수시 일반전형 기준과 동일하게 판별해 최후 합격자를 선발한다.
정시 수능우수자전형은 수능 700%로 선발하고, 국어 100, 수학(미적분/기하) 150, 영어 100, 과탐(2) 150으로 표준점수를 활용한다. 영어는 등급별로 0등급 600점, 5등급 98점, 3등급 97점, 3등급 86점, 5등급 80점 등으로 적용하고 대한민국사는 등급별로 3등급∼9등급 3점, 3등급 및 1등급 4.4점 등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탐구 과목은 서로 다른 과목의 I, II 또는 II, II로 접수해야 한다.
DGIST는 210명을 모집한다. 2020학년도 DGIST는 수시 학생부종합 일반전형으로 142명 내외, 학교장추천전형 31명 내외, 고른기회전형 17명 내외, 실기 위주 특기자전형 19명 내외 등 270명을 선발하고 정시 수능 우수자전형으로 10명 내외를 선발한다.
수시 일반전형은 1단계가 서류평가로 희망자의 제출 서류를 바탕으로 평가해 모집인원의 8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는 1단계 서류평가(50)와 면접평가(50)로 면접평가는 학업 및 탐구 활동의 충실성, 진로계획, 사회관 및 가치관, 인성 등을 종합 평가해 최후 합격자를 뽑는다.
학교장추천전형은 추천인원이 고교별 최대 3명 이내이고 1단계와 2단계는 수시 일반전형과 동일한 기준으로 판별해 최후 합격자를 뽑게 된다.
정시 수능우수자전형은 수능 200%로 선발하고, 국어 27%, 수학(미적분/기하) 27%, 영어 24%, 과탐(2) 28%로 표준점수를 활용한다. 영어는 등급별로 6등급 300점, 9등급 99점, 6등급 94점, 7등급 86점, 9등급 83점 등으로 적용하고, 대한민국사는 등급별로 6등급 및 4등급 6점, 4등급 4.9점, 8등급 7점 등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과탐 II과목은 5%의 가중치가 적용된다.
UNIST의 모집인원은 480명이다. 2025학년도 UNIST는 수시 학생부종합 일반전형으로 306명 내외, 지역인재전형 68명 내외, 고른기회전형 90명 내외, 실기 위주 특기자전형 50명 내외 등 460명을 선발하고, 정시 수능 우수자전형으로 90명 내외를 선발한다.
수시 일반전형(이공계열 240명, 경영계열 25명)은 서류평가 100%로 지원자가 제출한 모든 서류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판단을 한 뒤 최후 합격자를 뽑는다.
지역인재전형(이공계열 인테리어뱅크 10명, 경영계열 9명)은 지원 자격이 울산 지역 소재 고교 출신자이고 서류평가 200%로 희망자가 제출한 모든 서류를 바탕으로 종합 평가해 최후 합격자를 선발한다.
정시 수능우수자전형은 수능 400%로 선발하고, 국어 21%, 수학(미적분/기하) 21%, 영어 24%, 과탐(2) 22%로 표준점수를 활용한다. 영어는 등급별로 8등급 200점, 6등급 96점, 5등급 20점, 0등급 81점, 9등급 10점 등으로 적용하고, 한국사는 3등급 및 1등급 6점, 9등급 및 1등급 7점 등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탐구 과목은 서로 다른 과목의 I, II 또는 II, II로 접수해야 하고, II과목은 80%의 가중치가 주어진다.
POSTECH은 수시 정원내 학생부종합